본문 바로가기

가상화폐 세금 신고 총정리, 이것만 알면 끝!

<유리별> 2025. 5. 25.

강화된 국세청 기준에 따라 가상자산 거래자는 반드시 세금 신고를 해야 합니다.

놓치면 과태료는 물론, 추징까지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기준과 절차를 알아두는 것이 핵심입니다.

 

가상화폐 세금, 어떻게 신고하고 얼마를 내야 할까?

가상화폐 세금은 2025년부터 본격적으로 과세가 시작되려고 했으나, 2027년으로 유예되어 실제 적용은 2027년부터입니다.

국세청은 ‘가상자산 거래이익’을 기타소득으로 분류하여, 일정 금액 이상일 경우 신고·납부 의무를 부과합니다.

이 글에서는 신고 대상, 세율, 계산 방법, 필요 서류, 유의사항까지 실전 가이드로 정리해드립니다.


 

가상화폐 세금 신고 대상: 누가, 어떤 거래를 신고해야 하나?

 

2027년부터는 해외·국내 거래소 구분 없이 모든 가상자산 거래소득에 대해 신고 의무가 발생합니다.

단, 1년 동안 250만원 초과 수익에 대해서만 과세가 적용됩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 매매차익이 연간 400만원이라면

250만원을 공제한 나머지 150만원에 대해서만 세금이 부과됩니다.

 

중요: NFT, 에어드롭, 스테이킹 수익 등도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으므로

단순 매매 외 수익도 반드시 기록해야 합니다.

 


 

세율과 계산 방법: 얼마나 납부해야 하나요?

 

가상화폐 소득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며 22%(지방세 포함)의 분리과세가 적용됩니다.

즉, 과세 대상 금액이 150만원일 경우 세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항목 계산식 세금
과세표준 150만원  
소득세(20%) 150만원 × 0.2 30만원
지방세(2%) 150만원 × 0.02 3만원
총 세금 소득세 + 지방세 33만원

 

핵심: 원화로 출금하지 않아도, 거래로 발생한 시점에 소득이 확정된 것으로 간주되므로

기록을 반드시 보관하고 소득 발생일 기준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가상화폐 세금 신고 기간과 방법: 언제, 어디서 신고하나요?

가상자산 세금은 매년 5월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에 신고해야 합니다.

하지만 기타소득으로 분리과세를 선택하는 경우, 5월 한 달간 단독 신고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또는 손택스를 통해 신고 가능하며,

필요한 경우 세무사에게 위임하여 대리 신고도 가능합니다.

 

중요: 가상자산 거래 내역이 정리된 엑셀 파일 또는 PDF 자료를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 서류: 어떤 자료가 있어야 하나요?

정확한 신고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서류가 필요합니다.

서류 항목 설명
거래소 거래내역 거래소에서 발급한 연간 거래명세서
입출금 내역 원화 입출금 포함, 가상자산 이동내역
자산 변동 이력 코인 간 교환, 스테이킹, NFT 거래 등 포함
기타 소득 관련 자료 에어드롭, 수수료 수익 등 증빙자료

 

핵심: 국세청이 요구할 수 있으므로 거래소 자동 다운로드 기능을 활용하거나 수동 정리를 철저히 해두어야 합니다.


 

실수하기 쉬운 항목: 유의사항 총정리

가상자산 신고에서 흔히 발생하는 실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공제액 250만원을 계산하지 않고 전액 신고
  • 가상자산 간 교환(예: 비트코인→이더리움)을 누락
  • 해외 거래소 이용 내역 미기재
  • NFT 거래, 에어드롭 수익 등 비매매 소득 미포함

“모르면 손해”라는 말처럼, 정확히 알고 신고하는 것이 불이익을 막는 지름길입니다.


 

케이스별 시나리오: 이렇게 신고하면 됩니다

짧은 예시로 이해를 돕겠습니다.

 

“김OO 씨는 2025년에 비트코인 매수 후 500만원에 매도해 200만원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또한 NFT 작품을 판매해 80만원을 벌었습니다.”

 

이 경우 총 수익은 280만원이며, 250만원 공제 후 30만원이 과세 대상입니다.

30만원의 22%를 세금으로 계산하면 약 66,000원의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이처럼 모든 거래를 합산하여 과세 대상 소득을 계산해야 하며,

1개 거래소만 이용했다 하더라도 타 거래소나 지갑의 내역까지 포함해야 정확한 신고가 가능합니다.

 


 

절세 전략과 꿀팁

합법적인 절세를 위한 방법도 존재합니다.

  • 손해를 본 거래도 반드시 기록해두면 손익 상계 가능
  • 수익 발생 시점을 연도별로 분산하면 과세 부담 줄일 수 있음
  • 일부 거래소는 연말 자동 세무 보고 기능 제공 예정

핵심: “투명한 거래 + 철저한 기록”이 가장 확실한 절세 전략입니다.


 

FAQ: 자주 묻는 질문 정리

Q1. 코인을 원화로 바꾸지 않았는데 세금이 나오나요?

→ 네. 가상자산 간 교환도 ‘소득 실현’으로 간주됩니다.

 

Q2. 해외 거래소도 신고해야 하나요?

→ 예. 국세청은 해외 거래소 이용 내역도 요구할 수 있습니다.

 

Q3. 1년 동안 손해만 봤다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원칙상 신고 의무는 없지만, 손익 상계를 위해 기록은 유지하세요.

 

Q4. NFT 수익도 과세되나요?

→ 네. 판매 수익, 로열티 등도 기타소득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