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편) 비트코인은 왜 2100만 개만 존재할까? 발행량의 진실

<유리별> 2025. 6. 1.

“비트코인은 총 2100만 개만 발행됩니다.”

이 문장은 코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굳이 왜 2100만 개일까요? 1억 개도 아니고, 1000만 개도 아닌 정확히 2100만 개.

이 숫자엔 단순한 우연 이상의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오늘은 이 비밀스러운 숫자의 기원을 함께 파헤쳐 보겠습니다.

 


 

사토시 나카모토의 계산, 2100만 개의 출발점은?

 

비트코인의 창시자인 사토시 나카모토

처음 비트코인을 설계할 때부터 총 발행량을 2100만 개로 제한해두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디지털 통화지만 ‘금처럼 희소한 자산’이 되길 원했기 때문입니다.

 

비트코인은 ‘디지털 골드’라는 별명처럼,

채굴을 통해 얻을 수 있고,

누구도 더 이상 임의로 발행하거나 조작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이 2100만 개는 어떻게 계산된 걸까요?

 


 

10분마다 채굴, 반감기 그리고 발행량 수학

 

비트코인은 10분마다 새로운 블록이 생성되며,

그 블록을 생성한 사람(채굴자)은 보상으로 비트코인을 받게 됩니다.

 

초기에는 블록 하나당 50 BTC가 주어졌어요.

하지만 이 보상은 약 4년마다 ‘반감기’라는 이벤트로 절반씩 줄어듭니다.

  • 2009년 시작: 50 BTC
  • 2012년: 25 BTC
  • 2016년: 12.5 BTC
  • 2020년: 6.25 BTC
  • 2024년: 3.125 BTC
  • (계속해서 줄어듦)

이렇게 무한히 발행되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 덕분에,

비트코인의 총 공급량은 결국 2100만 개에 수렴하게 되는 거죠.

 

이런 고정된 공급량은 화폐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갖추는 핵심입니다.

 


 

비트코인의 희소성, 가격을 움직이는 힘

 

비트코인은 누구나 만들 수 있는 ‘코드’지만

누구도 더 이상 새로 만들 수 없는 ‘디지털 희소 자산’입니다.

 

다른 코인들과 비교해보면 확실히 차이가 느껴집니다.

  • 도지코인: 매년 수십억 개씩 추가 발행
  • 이더리움: 초창기엔 무제한, 최근에야 일부 소각 구조 도입

반면, 비트코인은

시간이 지날수록 공급이 느려지고,

채굴 완료 시점에는 더 이상 발행되지 않게 됩니다.

 

이 점이 투자자에게 중요한 이유는

수요가 유지되거나 증가하면, 희소성으로 인해 가격은 오를 수밖에 없기 때문이죠.

 


 

정말 2100만 개만 존재할까?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 하나.

실제로 시장에서 유통 가능한 비트코인은 2100만 개보다 적습니다.

 

왜냐하면…

  • 초창기에 생성된 코인 중 일부는 ‘잊혀진 지갑’에 남아 있음
  • 개인 키 분실, 사고 등으로 영원히 접근 불가한 코인이 존재
  • 일부 코인은 거래소의 내부 운영용으로 잠겨 있음

즉, 현실적으로는 1800~1900만 개 정도만 실질 유통 중이고

그 수량도 점점 줄어드는 추세입니다.

 


 

결론 – 2100만 개는 숫자가 아닌 ‘의미’다

비트코인의 2100만 개 제한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전통 화폐 시스템과의 근본적인 철학 차이를 상징합니다.

  • 중앙은행이 찍어내는 화폐와 달리
  • 비트코인은 누구도 통제할 수 없고
  • 발행량은 완전히 투명하고 고정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비트코인은 단순한 코인이 아니라

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자산이자, 디지털 금(Gold)으로 불리게 된 것이죠.

 


다음 편에서는

도지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무한 발행 코인’은 왜 위험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들이 어떤 구조로 운영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들

 

(1편) 가상화폐, 지금 시작해도 될까? 초보를 위한 투자 가이드

최근 다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이 움직이면서“이제라도 투자해볼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영상, 뉴스 기사, 커뮤니티 정보들이 너무 많다 보니어디서부터 시작

future.tistory.com

 

 

(3편) 도지코인 vs 이더리움, 무한 발행 코인의 리스크는?

“도지코인은 그냥 밈 아니야?”“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 플랫폼인데 무한 발행이 왜 문제지?” 많은 분들이 비트코인과는 다른 발행 구조를 가진도지코인(DOGE)과 이더리움(ETH)에 대해 궁금해

futur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