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편) 도지코인 vs 이더리움, 무한 발행 코인의 리스크는?

<유리별> 2025. 6. 1.

“도지코인은 그냥 밈 아니야?”

“이더리움은 스마트 계약 플랫폼인데 무한 발행이 왜 문제지?”

 

많은 분들이 비트코인과는 다른 발행 구조를 가진

도지코인(DOGE)과 이더리움(ETH)에 대해 궁금해합니다.

이 두 코인의 공통점은 바로 ‘무한 발행’ 구조를 가진다는 점인데요.

 

오늘은 무한 발행이란 정확히 무엇인지,

그리고 장기 투자에 있어 어떤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는지

쉽고 현실적인 관점에서 정리해보겠습니다.

 


 

발행량 제한이 없다는 것의 의미

 

비트코인은 2100만 개로 공급량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도지코인과 이더리움은 계속해서 새로 발행되는 구조입니다.

  • 도지코인: 연간 약 50억 DOGE 고정 발행
  • 이더리움: 정확한 상한은 없지만,
  • 최근에는 소각 메커니즘(EIP-1559)이 도입되어 일정 부분 제어됨

이런 구조는 말 그대로

시장에서 공급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뜻입니다.

마치 국가가 매년 돈을 찍어내는 것처럼

코인의 ‘인플레이션’이 계속되는 것이죠.

 


 

도지코인 – 유쾌하지만 구조는 진지하게

 

도지코인은 원래 비트코인 코드를 기반으로 장난처럼 만든 코인입니다.

하지만 지금은

  • 일론 머스크의 언급
  • 대중적인 이미지
  • 빠른 속도, 낮은 수수료

등의 이유로 실제 결제 수단이나 소액 송금용으로도 주목받고 있죠.

 

그런데 구조적으로 보면,

  • 매년 고정적으로 50억 DOGE가 추가
  • 현재 약 1400억 개 이상이 유통 중
  • 총 공급량 제한 없음

즉, 시간이 지날수록 전체 공급 대비 보유량 비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물가가 오르듯, 도지코인의 ‘가치 희석’ 현상이 생기는 거죠.


 

이더리움 – 무제한에서 ‘소각 구조’로 바뀌다

이더리움은 초창기엔

총 공급량 제한 없이 채굴 구조로 운영되었습니다.

 

하지만

  • 전력 낭비 논란
  • 공급 과잉 우려
  • 장기 가치 저장 수단으로 부족하다는 평가

등을 극복하기 위해

2021년 EIP-1559 업데이트를 통해

가스 수수료의 일부를 ‘소각’하는 구조를 도입했죠.

 

또한 2022년에는 PoW → PoS 전환(Merge)을 통해

신규 발행량도 대폭 줄였습니다.

 

현재는

  • 소각량 > 발행량이 되는 구간이 간혹 발생
  • 이론상 ‘디플레이션 코인’이 될 수 있는 구조로 진화 중

그렇다고 해도

총 발행량 제한이 존재하는 건 아니라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무한 발행이 주는 실제 리스크 3가지

1. 장기 보유 시 희소성이 떨어진다

  • 비트코인은 시간이 갈수록 더 귀해짐
  • 도지코인이나 이더리움은 매년 공급량 증가 가능성 존재

2. 투자자들의 ‘가치 저장 수단’ 인식 약화

  • “들고만 있어도 오르는 자산”이 되기 어려움
  • 실사용 목적 외의 수요가 약해질 수 있음

3. 가격 상승에 더 많은 수요가 필요

  • 공급이 늘면, 가격을 유지하거나 올리기 위해
  • 그만큼 많은 신규 매수세가 유입되어야 함

 


 

그렇다면 투자하면 안 되는 걸까?

꼭 그렇진 않습니다.

무한 발행 = 나쁜 구조는 아닙니다.

다만, 그 코인의 목적과 역할에 맞게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죠.

  • 도지코인: 빠른 결제, 낮은 수수료물처럼 쓰기 위한 코인
  •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플랫폼활동을 위한 연료(Fee) 역할

즉, 가치 저장이 아닌 유통과 사용성 중심의 코인이라면

무한 발행도 일정 부분 논리적인 구조일 수 있습니다.

 


 

결론 – 코인은 발행 구조를 알고 투자하자

단순히 “이 코인 요즘 잘 나가네?”라는 이유로 투자하기보단

이 코인이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부터 파악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 총발행량이 정해져 있는지
  • 연간 발행량이 얼마나 되는지
  • 소각 구조가 있는지, 유통량이 얼마나 늘어날지

이런 정보들은 대부분 화이트페이퍼나 공식 웹사이트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락업(Lock-up) 해제와 유통공급량 증가가 왜 코인가격 하락을 불러오는지

실전 예시와 함께 분석해볼게요.

 

함께 보면 좋은 글들

 

(1편) 가상화폐, 지금 시작해도 될까? 초보를 위한 투자 가이드

최근 다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가격이 움직이면서“이제라도 투자해볼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유튜브 영상, 뉴스 기사, 커뮤니티 정보들이 너무 많다 보니어디서부터 시작

future.tistory.com

 

 

(2편) 비트코인은 왜 2100만 개만 존재할까? 발행량의 진실

“비트코인은 총 2100만 개만 발행됩니다.”이 문장은 코인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거예요. 그런데 생각해보면,굳이 왜 2100만 개일까요? 1억 개도 아니고, 1000만 개도 아

future.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