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8 대학입시, 뭐가 달라지나? 고교학점제 시대의 입시 개편 핵심 정리
‘2028 수험생’은 지금까지와 전혀 다른 입시를 치르게 됩니다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과 함께 학생부, 수능, 전형 방식 모두 바뀌고 있습니다
고교학점제가 대학 입시까지 바꾸는 이유는?
2025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에게 적용되는 ‘고교학점제’는
단순히 수업 방식만 달라지는 게 아니라
학생부 기재 방식, 내신 반영, 대학의 평가 기까지 전면적인 변화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즉, 2028학년도 대입을 치르게 될 학생들은
단순한 등급 중심 경쟁이 아닌, 이수 과목과 과목 성취 수준에 따라 평가되는 새로운 입시 시스템을 겪게 됩니다
고교학점제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기존처럼 모든 학생이 같은 교과서를 따라가는 방식이 아니라
학생이 원하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학점을 쌓는 대학식 수업 구조로 전환됩니다
고등학교 3년 동안 192학점을 이수하면 졸업 가능하며
수업은 ‘절대평가 성취도’로 기록됩니다 (A~E)
이는 학생의 진로에 따라 과목 선택이 달라지고, 대학은 그 과목 선택과 성취도를 기준으로 평가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2028 입시는 어떤 방식으로 바뀌나?
2028학년도 대입은 2025년 고1부터 적용되는 고교학점제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기존의 석차 등급 중심 평가가 줄어들고
학생부에는 이수 과목명, 성취도(예: A), 세부능력 특기사항 중심으로 기록됩니다
따라서 대학은
“이 학생이 이수한 과목이 전공과 얼마나 연관돼 있는지”,
“성취도가 일관적으로 높은지”,
“어떤 과목에서 깊이 있는 학업 역량을 보였는지” 등을 평가하게 됩니다
전형 방식은 더 정시 중심? 아니면 수시 강화?
수능 중심 정시 비중은 여전히 유지되지만
고교학점제의 도입으로 인해 ‘수시 학생부 중심 전형’이 세분화되고 강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전공 관련 과목 이수 여부, 고교 선택 과목이 중요해지며
학교생활기록부의 질적 요소가 핵심 평가 기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어떤 과목을 선택해야 대학에서 유리할까?
고등학교에서 ‘선택 과목’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지원 가능한 대학과 학과의 스펙트럼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 공대 진학 희망자 → 물리학Ⅱ, 수학 확률과통계, 기하 등 이수 추천
의대 진학 희망자 → 생명과학Ⅱ, 화학Ⅱ, 심화국어 등 연계 필요
경영·사회계열 진학자 → 사회문제탐구, 경제학 등 이수 시 유리
이는 단순 내신 등급이 아니라
이수한 과목 자체가 평가요소가 된다는 뜻입니다
이제는 “무엇을 얼마나 잘했는가”보다 “무엇을 왜 선택했고, 어떻게 학습했는가”가 중요해집니다
고교학점제를 반영한 2028 대입은
정량 평가보다 정성 평가의 비중이 커지는 구조로 바뀝니다
학생 스스로의 학습 이력과 진로 연결성을 중심으로
입시 준비도 보다 전략적이고 개별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행기 좌석 추천 완전 정리! 절대 피해야 할 좌석 4가지와 이유 (0) | 2025.06.10 |
---|---|
해외 호텔 예약 실수 줄이는 법!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기준 (0) | 2025.06.10 |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내신과 학생부, 대학은 어떻게 반영할까? (0) | 2025.06.08 |
중국 싼샤댐의 모든 것 (위치와 크기, 수위 현황 보기) (0) | 2020.08.03 |
중국 베이징 코로나 현황 바로 알기! (0) | 2020.07.08 |
중국 신파디 시장 베이징 코로나 실시간 현황 한눈에 보기 (0) | 2020.06.21 |
댓글